A Developing Developer
DAY 68. 이론 공부(3) 본문
- 문제발생
-
- 시도
- 해결방안
-
- 알게 된 것
- https://icepri3535.tistory.com/171
JavaScript 에서 this 키워드
JavaScript 에서 this 키워드는 현재 실행 중인 함수 또는 메소드 내에서 현재 객체를 참조하는 데 사용된다. this는 함수의 호출 방법에 따라 결정된다. 아래 예시 코드를 살펴보면 this 키워드를 사용
icepri3535.tistory.com
- https://icepri3535.tistory.com/172
IoC 와 DI
Nest.js 는 IoC (Inversion of Control) 컨테이너를 내장하고 있는 프레임워크이다. IoC 는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흐름을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에서 외부 컨테이너로 제어의 흐름을 바꾸는 디자인 패턴이다
icepri3535.tistory.com
- https://icepri3535.tistory.com/173
eager 과 lazy loading
Nest.js에서 "eager"는 모듈의 로딩 시점을 의미하는 옵션입니다. Nest.js는 기본적으로 지연 로딩(lazy loading)을 사용하여 모듈의 로딩을 최소화하고 애플리케이션의 부하를 줄입니다. 이는 필요한 모
icepri3535.tistory.com
- https://icepri3535.tistory.com/174
TypeORM 에서 'n + 1 problem' 은 어떻게 해결할까?
TypeORM에서 'n + 1 problem'은 대개 관련 엔티티의 쿼리를 로드할 때 발생하는 문제이다. 예를 들어, 게시물(Post)과 게시물 작성자(User) 엔티티가 있다고 가정하면, 모든 게시물과 각 게시물 작성자를
icepri3535.tistory.com
[결론]
급하게 정리만 했으니, 내일은 공부...
'내일배움캠프 4기 > 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AY 70. nest.js 심화 (0) | 2023.02.22 |
---|---|
DAY 69. nest.js 심화 (0) | 2023.02.21 |
DAY 67. TypeORM 복습 (0) | 2023.02.17 |
DAY 66. TypeORM 실습 (0) | 2023.02.16 |
DAY 65. 이론 공부(2) (0) | 2023.02.15 |